직장인 10명 중 9명 이상은 결혼 후 맞벌이에 대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신문, 인터넷, 모바일로 구인구직정보를 제공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(대표이사 최인녕)이 직장인
1,061명을 대상으로 맞벌이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92.8%가
‘맞벌이에 찬성한다’고 답했다.
또한 기혼자의 경우 93%가 미혼자의 경우에는 92.6%가 ‘맞벌이에 찬성한다’고 답해
맞벌이에 대한 생각은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대다수 직장인 응답자가 찬성한다는 의견을 보였다.
그렇다면 맞벌이에 찬성하는
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? 과반수 이상인 51.9%가 ‘경제적인
여유를 즐기기 위해서’을 꼽았다. 다음으로 ‘생계유지를 위해서’(19.4%),
‘자아실현을 위해서’(10.7%), ‘자녀 양육이나 교육을 위해서’(10.1%), ‘안정적인 노후를 위해서’(7.9%)의 순이었다.
외벌이가 가능한 월
수입 금액은 평균 475만원으로 집계되었다. 세부적으로 살펴보면
‘4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’이 26.4%로 1위를 차지했으며 ‘500만원
이상 600만원 미만’(23.4%), ‘600만원 이상’이 21.1%, ‘300만원
이상 400만원 미만’이 16.8%로 그 뒤를 이었다.
맞벌이를 한다고 답한
응답자에게 맞벌이 생활의 만족도를 묻자 59.6%가 ‘맞벌이를 하고 있는 것에 만족한다’고 답했다.
하지만 성별에 따라
맞벌이 만족도에는 차이를 보였는데 맞벌이에 대해 만족하는 비율은 남성(32%)이 여성(27.6%)에 비해 높았던 반면, 만족한적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여성(21.2%)이 남성(19.2%)보다 더 높았다. 맞벌이 시, 퇴근 후 육아나 가사노동을 남성보다 여성이 많이 하는
것에 대한 결과로 풀이된다.
한편, 일과 가정 둘 다 신경 써야 하는 맞벌이의 현실 속에서 육아휴직을 사용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는 68.7%가 ‘사용할 의향이 있다’고 말했다. 특히 눈에 띄는 것은
육아 휴직을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 중 남성은 48.7%로 여성(51.3%)과 큰 차이가 없었다는 것이다.
그렇지만 현실에서 육아휴직을
사용하긴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. 직장인 36.3%는 ‘회사나
동료의 눈치가 보여서’ 육아휴직을 못 쓴다고 답했으며 그 외 ‘복귀 후 승진이나 평가에서 불이익을 당할까봐’(39.7%)
육아휴직을 쓰지 못한다는 의견도 있었다.
기본적 인권 침해의 우려가 있는 민감한 개인정보(인종 및 민족, 사상 및 신조, 출신지 및 본적지, 정치적 성향 및 범죄기록, 건강상태 및 성생활 등)는 수집하지 않습니다.
회사는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'쿠키(cookie)'를 사용하지 않습니다.
수집한 개인정보의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보관기간 및 이용기간에 따라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. 파기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파기절차 : 귀하의 개인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 수집 또는 제공받은 목적 달성 후 파기되어 집니다. 개인정보는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보유 되어지는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.
- 파기방법 : 서면으로 존재하는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 또는 소각하거나 화약약품 처리를 하여 용해하여 파기하고, 전자적 파일 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.
개인정보를 처리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∙도난∙유출∙변조∙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 조치 행위를 하고 있으며, 개인정보보호의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.
현 개인정보취급방침은 2011년 9 월에 제정된 개인정보보호법에 근거하며 이후 정부의 정책 또는 보안기술의 변경, 내용의 추가•삭제 및 수정이 있을 시에는 개정 최소 10 일 전부터 미디어윌 홈페이지의 통해 고지할 것입니다.
※ 본 방침은 : 2012 년 10 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.
개인정보보호 관련 민원을 개인정보관리책임자 혹은 담당부서로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. 회사는 이용자들의 신고사항에 대해 신속하게 충분한 답변을 드릴 것입니다.
기타 개인정보침해에 대한 신고나 상담이 필요하신 경우에는 아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