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장인 10명 중 9명은 직장에서 말 실수로 곤란을 겪은 적이 있는 것으로
나타났다.
신문, 인터넷, 모바일로 구인구직정보를 제공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(대표이사 최인녕)이 자사 소셜네트워크를 방문한 직장인 890명을 대상으로 직장인들의 말 실수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89%가
‘직장에서 말 실수를 하여 곤란을 겪은 적이 있다’고 답했다.
직장에서 가장 많이
한 말 실수 유형으로는 ‘상사, 동료, 후배, 회사 등의 뒷담화 실수’가 27.6%로 가장 많았다. 이어 ‘잘못된 단어 사용으로 인한 실수’(26.5%)가 근소한 차이로
뒤를 이었으며 ‘호칭실수’(15.7%), ‘할 말이 없거나 끼지 말아야 할 상황에서의 말 실수’(14.6%), ‘상대방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말 실수’(10.3%), ‘욕설, 비속어 실수’(5.2%) 순이었다.
주로 말 실수를 많이
하는 상대는 ‘직속상사나 선배직원’(51.2%)이었으며 다음으로 ‘동료’(30.3%), ‘후배직원’(8.1%), ‘CEO, 임원’(6.5%), ‘거래처직원’(3.8%)이라고 답했다.
직장에서의 말 실 수
때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받은 직장인은 무려 70.1%에 달했다. 그로
인해 받은 피해로는 ‘말 실수를 했던 상대방에게 계속 미움을 받거나 똑같이 당했다’라는 응답이 35.1%로
가장 높았다. 이 외에도 ‘직장 내 이미지가 나빠졌다’(27.4%),
‘나에 대한 좋지 않은 소문이 퍼졌다’(17.3%), ‘업무협조 등을 받지 못하고 혼자
일하는 시간이 많아졌다’(11%), ‘시간이 흘러 똑같이 당했다’(6.7%),
‘나쁜 고과점수를 받거나 승진에 누락됐다’(2.5%)의 의견이 이었다.
그렇다면 직장인들이
직장에서 말 실수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할까?
41.8%의 직장인이 ‘성격이 급해 한번 더 생각하고 말하지 못해서’을 1위를 꼽았다. 이어 ‘상대방에 대한 안 좋은 감정이 무의식 중에 말로 나와서(30.1%),
‘직장생활을 지나치게 잘 하려고 하는 욕심 때문에’(15.3%), ‘말 주변이 없어서’(8.5%), ‘상대방의 말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해서’(4.3%)의
순으로 나타났다.
한편 직장에서 말 실수를
하는 사람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54.2%가 ‘안타깝다’고 말했다. 또 14.8%는 ‘오히려 인간적으로 느껴진다’고 답했으며 ‘사회생활을
못하는 것처럼 보인다’(13.9%), ‘융통성이 전혀 없는 사람 같다’(9.2%), ‘한심하다’(7.9%)의 의견이 뒤따랐다.
기본적 인권 침해의 우려가 있는 민감한 개인정보(인종 및 민족, 사상 및 신조, 출신지 및 본적지, 정치적 성향 및 범죄기록, 건강상태 및 성생활 등)는 수집하지 않습니다.
회사는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'쿠키(cookie)'를 사용하지 않습니다.
수집한 개인정보의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보관기간 및 이용기간에 따라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. 파기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파기절차 : 귀하의 개인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 수집 또는 제공받은 목적 달성 후 파기되어 집니다. 개인정보는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보유 되어지는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.
- 파기방법 : 서면으로 존재하는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 또는 소각하거나 화약약품 처리를 하여 용해하여 파기하고, 전자적 파일 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.
개인정보를 처리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∙도난∙유출∙변조∙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 조치 행위를 하고 있으며, 개인정보보호의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.
현 개인정보취급방침은 2011년 9 월에 제정된 개인정보보호법에 근거하며 이후 정부의 정책 또는 보안기술의 변경, 내용의 추가•삭제 및 수정이 있을 시에는 개정 최소 10 일 전부터 미디어윌 홈페이지의 통해 고지할 것입니다.
※ 본 방침은 : 2012 년 10 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.
개인정보보호 관련 민원을 개인정보관리책임자 혹은 담당부서로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. 회사는 이용자들의 신고사항에 대해 신속하게 충분한 답변을 드릴 것입니다.
기타 개인정보침해에 대한 신고나 상담이 필요하신 경우에는 아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